본문 바로가기

300x250

화랑제도

(2)
김흠돌의 반란, 통일 전쟁의 후유증 김흠돌의 반란은 신문왕이 즉위할 때에 일어난 반란으로 이후 통일신라는 체제 정비를 통해 확고한 전제왕권을 수립하는 계기가 된 사건입니다. 그럼 오늘은 김흠돌의 반란이 일어난 배경과 결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대적 배경 삼국통일과 나당전쟁을 끝냈지만, 백제와 고구려의 유민들이 언제 반란을 일으켜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혼란의 상황이 계속되고, 당나라 또한 언제든지 또다시 침략해 올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기나긴 전쟁으로 인해 무신 진골귀족들의 세력은 왕권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해 있었지요. 태종 무열왕이 진골로 왕이 되면서, 왕위를 노릴 수 있는 진골의 수도 엄청 많아졌습니다. 진골이면 누구나 '나도 왕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왕의 권위에 심각한 타격이 되었어요.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전제왕권을 확립한 준비된 왕 신문왕, 그리고 신문왕릉 신라 31대 신문왕, 정명은 문무왕의 둘째 아들로 재위 기간은 681년~691년으로 11년간입니다. 짧은 재위 기간이지만 어떤 왕들보다 많은 업적을 남긴 왕으로 국사시험에 꼭 한 문제 정도는 나올 정도로 중요한 왕이지요. 그래서 이번에는 신문왕의 업적위주로 알아보고, 왕릉에 대해서는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철저하게 준비된 왕, 신문왕 665년 동복형 소명태자가 죽자 태자에 책봉되었습니다. 신문왕은 어린 시절부터 할아버지 태종 무열왕과 아버지 문무왕의 삼국통일과 나당전쟁 과정을 고스란히 지켜보며 자랐어요. 성인이 되고, 태자가 되면서부터 이후 자기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아마 배우고 느끼고 있었겠지요. 진골귀족의 득세 전쟁이 끝나고 평화의 시대가 찾아오면 전쟁 공신들은 거만해지며, 자신들의 공로..